세계인의 재래시장 중국 이우시장을 가다
본문 바로가기

세계의 전통시장 소개

세계인의 재래시장 중국 이우시장을 가다

세계최대의 잡화상품 도매시장 중국 이우시장

 1982년에 형성된 이우시장(義鳥, Yiwu Market)의 공식명칭은 국제상무성, 푸텐시장이다. 이 이우시장은 '20년 발전 전략'에 의해 현대식 건물로 탈바꿈한 특화시장이다. 연면적 260만 평에 4층 건물 7개동(A~G)과 중국 소상품성, 땡처리 시장, 장춘 자동차용품 시장이 들어서 있으며, 세계 최대 소상품 도매시장으로 유명하다. 이우에 없는 것은 세상에 없다고 하는 이우시장에는 58,000여개의 상점이 있으며, 무려 20여만의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다. 또 하루 평균 32만여 가지의 상품 3,000만 톤정도가 거래되고 30~40만 명의 중국인과 100여개국 1만여 명의 외국인이 찾는 곳이다.

특히 이우시장의 대표적인 경쟁력있는 아이템은 악세서리 시장이라 할 수 있다. 이우 도매시장 1기 2층과 3층에 있는 악세서리 구역은 이우를 대표하는 그야말로 악세서리의 천국이다. 전세계에서 이우를 찾는 바이어들도 악세서리 구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제일 많다. 각종 원석과 크리스탈 제품은 가격이나 품질면에서 이미 검증된 제품들이라 한국 바이어들도 많이 찾고 있다.

 중국에서 수출되는 생활 잡화의 70% 정도가, 또 전세계 생활 잡화의 30% 정도가 이곳에서 공급된다는 점에서 '거대한 경공업품 도매시장' '중국 소상품의 집산지. 유통 중심지' 그리고 '세계 최대의 잡화시장'이라고 불리우는데 전혀 손색이 없다고 하겠다.

이우상인은 특유의 부지런함과 박리다매의 신념으로 세계 잡화시장 30%를 차지하는 놀라운 기적을 만들어 냈다. 저장성 중부에 있는 이우는 70만명 정도의 작은 도시이다. 그러나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전세계에 팔리는 크리스마스 관련 물품의 60%가 이우에서 생산되는 것이라 하니 정말 대단하지 않을 수 없다. 판매점 뒤편이나 인근에 공장을 갖고 있는 산지(産地)형 시장으로 생활용품 40만 여종을 판매하는 잡화상가가 5만 8천여개가 들어서 있는 것이다. 양말만 연 30억 켤레 이상 세계 대형 유통업체에 납품하는 양말 도시이기도 하다. 한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제 잡화의 90% 이상이 이우시장 제품으로 보면 된다.

이우시장의 장점을 보면 아이템별로 구분, 배치가 잘되어 있고 여러 동의 건물들이 연결되어 있어 찾아가거나 이동하기가 쉬우며, 취급 품목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어느 시장보다도 가격 경쟁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곳의 특징으로는 저장성 정부의 전략적 지원, 특히 부가가치세 면세 조치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중국 내 타지역 및 세계 상인들을 불러들이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이우 사람들의 상인정신 및 자구 노력 또한 이우시장의 활성화 성공 요인으로 크게 작용했었다.

이우는 몇십년 전만 해도 평범한 도시에 불과했다. 저장성 중에서도 오지였으며 바다도 가깝지 않고 교통도 불편했다. 그러나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 때 이우의 한 업체가 작은 북을 만들어 팔았는데 이게 대히트를 쳤다. 북을 사려고 전국 유통상인들이 이우에 몰려들자 다른 잡화 업체들도 앞다퉈 상점을 열었으며, 시당국도 재빨리 시 전체를 유통전문단지로 조성했고 국제적 규모의 쇼핑몰을 건설하는 등 상인의 천국으로 꾸렸다. 시골 오지가 현대판 알렉산드리아가 되는데 한 세대도 안걸렸다. 바로 이우상인들이 만들어 낸 기적이라 하겠다.

"목이 날아갈 장사는 해도, 손해보는 장사는 하지 않는다"는 정신은 중국 상업계를 주도하는 저장 상인들의 정신이다. 이처럼 적극적인 저장 상인을 대표하는 이우상인은 시장이 있다면 어디든 쫓아가고, 시장이 없는 곳이라면 직접 계획하고 만들어서 장사를 한다고 할 정도다. 이우시장의 활성화 성공 요인은 바로 이러한 중국 제일의 저장 상인들의 정신이 아닐까 싶다. 

이우시장의 주소는 저장성 이우시 촌성거리 복전로105호이고, 홈페이지 주소는 www.yiwugou.com이다. K1, 108, 201, 818, K12번 버스를 타고 훤원의복시장역에서 내리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