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전통시장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인의 재래장터 역사이야기 조선시대편 조선시대의 시장형성과 역사에 대한 이야기조선시대에는 현재의 시장에 대한 기능과 모습이 유사한 시장과 상업력이 등장했다. 에 의하면 조선조 태조 원년(1392)에 고려의 제도를 모방하여 경시서(京市署)를 설치하고 시장의 관리. 감독. 도량형기의 단속 및 물가의 억제 등에 관한 업무를 보게했다고 한다. 아울러 태조 3년(1394)에는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좌묘우사(左廟右社) 전조후시(前朝後市)' (경복궁 중심으로 왼쪽에 종묘, 오른쪽에 사직단, 광화문 앞 남쪽 좌우로 의정부, 육조, 사헌부 등이 배치)되고 운종가 일대에 시전이 건설되었다. 한양의 시전 번영은 곧 상인의 우열을 가져오게 하여 자연히 전(廛)의 경제적, 사회적 위치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특히 국역 부담의 고액전 여섯개를 추려서 육의전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