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시장 #한국의전통시장 #전통시장 #장터 #재래시장 #일제시대시장 #해방 #해방이후시장 #전래시장의변화 #시장의역사 #한국의시장변천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인의 재래장 일제시대와 해방이후 역사편 일제시대의 시장과 해방이후 한국의 전래시장의 변화일제가 1901년 한국을 병합. 강점하자마자 총독부에서는 한국의 모든 시장에 대해 도지사의 허가없이는 새로 시장을 설치(新設)하거나 기존의 시장을 변경할 수 없도록 묶어 놓은 다음 1914년 시장 규칙을 제정 발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밟아 한국의 모든 시장은 일제의 손아귀에 그야말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었고 장악되었다. 일제에 의해 분류된 한국의 시장 종류는 다음과 같이 구분되었는데 살펴보면 이러하다. 재래(在來)시장, 공설(公設)시장, 어채(魚菜)시장 및 중앙도매시장, 곡물과 유가증권 및 현물거래소(1931년에 폐지)였다. 그리고 일제는 한국 전래의 전통시장을 재래시장(在來市場)이라고 불렀고 기타의 시장을 신식시장(新式市場)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일제는 .. 더보기 이전 1 다음